아함경이란? 아함경류'화엄경'을 설하신 후 12년간 소승의 아함부(阿含部) 경전을 설하신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 부처님의 최초 설법 장소가 녹야원이었으므로 '녹원시'라고 하며 설하신 경전의 명칭에 따라 '아함시'라고도 한다. 이 때 말씀하신 가르침은 그 정도가 매우 낮은 소승 즉 3장교(三藏敎.. 나무 법/아함경 12년 2012.09.23
장아함경 - 선생경(2) 싱갈라여, 네 가지 나쁜 벗이 있다. ① 무엇이건 빼앗아가는 사람 ② 말만 앞세우는 사람 ③ 아첨하는 사람 ④ 좋지 않은 곳에 출입하는 사람은 해가 되는 사람으로서 사귈만한 사람이 못된다. 무엇이건 빼앗아가는 사람은 ① 적은 것을 빼앗고 ② 큰 것을 바라고 ③ 상대방이 자기보다 힘이 클 때만 같..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
장아함경 - 선생경(1) 선생경(善生經) 선생경은 달리 육방례경(六方禮經) 혹은 싱갈라교계경(Singalovada suttanta)이라고 부릅니다. 선생경은 아함경 가운데서 무척 널리 읽히는데, 그 이유는 부처님께서 다른 그 어떤 경전보다도 세간의 윤리에 관한 말씀을 많이 하신 경전이기 때문입니다. 이 경에서는 네 가지 악한 일이란 무..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
장아함경- 전륜성왕수행경 오늘은 장아함경 제6권에 있는 전륜성왕수행경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부처님께서 출현하셨던 당시 인도에는 두 가지 이상적인 인간상이 있었는데, 하나는 진리를 깨달아 모든 괴로움과 불만족으로부터 영원히 벗어난 열반을 성취한 붓다이며, 또 하나는 진리로써 통치하여 전쟁이 없고 평화..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
장아함경-소연경 소연경은 북전 장아함경 제5경으로서, 부처님이 바실타에게 인도의 계급제도인 4종성제도(바루나제도, 후에 카스트제도. 계급을 브라만교 사제인 바라문, 왕, 귀족, 무사계급인 크샤트리아, 평민인 바이샤, 천민인 수드라로 나누고 계급간의 차별을 엄격히 함)에 대하여, 바라문 종성이 다른 종성보다 ..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
장아함경-유행경(2) 장아함경 제2경 유행경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요약하였습니다.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마땅히 스스로 마음을 챙겨 모든 위의를 갖추어야 한다. 비구여, 어떤 것을 스스로 그 마음을 챙긴다고 하는가. 몸 안을 관찰하기를 부지런히 힘써 게으르지 않고 항상 생각하고 잊지 않아 세상의 탐욕과 걱정을 ..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
장아함경-유행경(1) 아함은 범어 Agama를 음역한 것으로, 전하는 것, 가르침, 법귀(法歸)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아함경은 4아함(장아함, 중아함, 잡아함, 증일아함) 가운데 비교적 긴 경전 30가지를 담고 있습니다. (남전 빨리 경장의 장부 니까야는 34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함경은 근본불교 시대의 정치, 사.. 나무 법/아함경 12년 2007.07.04